청력검사
Aurical AUD w/o Hi-Pro, Audio Booth(Single Room)
청력 손실의 여부, 정도, 유형, 부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는 검사로
난청을 동반하는 질환의 상태와 예후 평가, 치료 및 재활의 선택, 치료 효과 판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입니다.
외부와의 소음을 완벽히 차단하여 검사를 진행하기에 정확한 청각장애 진단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고막운동성 검사
Zodiac SA Quick without Printer
외이도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중이의 구조물의 진동 체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소리 에너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프로브(고무)를 귀에 갖다 대어 외이도를 완전히 차단한 뒤, 귀에 압력을 주어
되돌아오는 힘을 측정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음향 방사 검사
ILO292 USB-I
이음향 방사는 외유모세포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소리)가 중이를 거쳐
외이도에 전파되어 나타난 것을 측정한 것입니다.
객관적이고 비침습적이며 수면이나 진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사 시간이 짧으며,
특히 외유모세포에 대한 검사로 유소아의 청각선별검사, 이독성 난청,
메니에르병의 진단, 위난청의 감별에 효과적입니다.
청성 뇌간 반응검사
Integrity V500(ABR, Ecoch G)
청성 뇌간 반응은 청신경 및 뇌간 내 청각 전도로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전기적 변화를 표면전극을 이용해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마취, 수면 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및 청각장애 진단, 소리 전달 경로의
중추성 종물 확인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율신경계 검사
AFT-800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율적으로 조절되는 신경을 자율신경이라고 하며
이는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으로 나누어집니다.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에도 인체의 자율신경이 작용하여 기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기능을 유지하지 못해 어지럼증이 발현되고,
이를 감별하기 위해 자율신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러한 문제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은 기립성저혈압, 기립성 빈맥 증후군이 있습니다.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자체적으로 구비한 경우는 많지 않아 대부분 신경과나
순환기 내과 소속 장비를 빌려 쓰는 경우가 많아서 검사 지연이 발생됩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
Easy Eyes, ICS Impulse
전정 신경과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신경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정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면 안구의 떨림 증상이 생기며
이것을 '안진'이라고 합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는 환자의 안구 중심을 정밀하게 따라가며
안진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검사를 통해 안진의 양상을 파악하여 뇌와 귀 중 어느 기관의 이상인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충동 검사
ICS Impulse
전정기관 중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양쪽 세반고리관의 기능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한 지점을 주시하게 한 상태에서 세반고리관의 각도에 맞추어
두부 충동(머리를 갑자기 흔들었을 경우) 시 안구의 움직임을 보고
세반고리관 및 전정신경의 기능을 측정합니다.
경두개 자기 자극기
ALTMS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수술이나 마취 없이 비침습적으로 국소 대뇌피질을 자극한 뒤
뇌의 활동을 활성화 또는 안정화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자기장은 피부나 뼈, 근육을 감쇄 없이 통과할 수 있기에 사용되며
안전하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또한 검사받는 환자의 경우 추가적인 준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신의료기술로 인정된 치료법으로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본원은 최신 치료기술을 환자들에게 소개하고 좋은 치료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새로운 장비 도입에 주저 하지 않습니다.
이명검사기
Med RX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이명의 방향, 주파수, 강도를 정밀 분석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기기입니다.
또한 이명 설문지를 환자 스스로 진행할 수 있도록 기기 내에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환자가 이명으로 인해 느끼는 불편감의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치료의 효과가 있는지 증상의 호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정량 뇌파검사기
QEEG
정량 뇌파검사는 일반적인 뇌 영상 기술 (MRI, CT 등)이 뇌의 구조를 보는 것에 반해,
뇌에서 보내는 알파, 베타, 감마, 세타, 델타등의 뇌의 파장을 분석하고
측정하여 뇌 기능 상태를 보여주는 진단 기기입니다.
기존의 뇌파검사와 달리 뇌의 활동을 수치와 이미지로 나타내고 뇌 맵핑을
통해 측정된 패턴을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뇌졸중,
치매 등 뇌 관련 질환부터 기분장애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 머리카락 염색 4주 후 검사 가능합니다.